New publication: Vacant warehouses as placeholders of fortune

Temporary Storages cover

Joo Hwang, "Temporary Storages" (2011)

I have a new article in a monograph published by mediabus. This was my “fun writing project” for the year — an essay on capitalist development and logistics landscape in Korea. It wasn’t easy to write about a topic I knew so little about, but I ended up learning a lot in the process of research and writing. And now I have some ideas for follow-up projects on narrating the political economy of progress through the landscapes of development. My essay accompanies photographs by the Seoul and New York-based artist (and old friend) Joo Hwang. Her solo exhibition was at Gallery Plant in Seoul from March 3 to April 2, 2011.

 

J. Han. 2011. “Vacant warehouses as placeholders of fortune.” In Korean: “재산증식의 자리맡기” (Korean translation by Kwon Insook). Temporary Storages: Joo Hwang, Seoul, Korea: mediabus.

Excerpt

As the popular Korean idiom goes, ten years are enough to change even mountains and rivers. This is no more evident than in contemporary South Korea, where decades of rapid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have transformed vast landscapes and countless lives, with enormous fortunes made and unmade in transactions both spectacular and speculative. Given the compressed modernity experienced firsthand by the majority of the present populations in South Korea, it is no surprise that the physical changes in the landscape and rural-urban transformation are important aspects of narrating the political economy of progress. Tunnels are blasted through mountains, and rivers are dammed and dredged ostensibly for industrial expediency and recreational convenience. Rolling fields of rice, barley, and grass have been replaced by towers made of steel, concrete, and glass. Traditional single family housing structures and open air marketplaces have given way to apartment megaplexes and indoor shopping malls, and social lives are increasingly organized around underground subways and highway overpasses, stack parking lots with hydraulic lifts and mega-structures that serve up religion and consumption in bulk. Day after day, profit-driven development projects obliterate and displace entire neighborhoods to make room for new buildings that sprout up relentlessly on razed grounds.

한국 속담에 십 년이면 강산이 바뀐다고 했다. 지난 수십 년간 한국은 산업화와 경제발전을 빠르게 겪으며 강산이 여러 번 변하는 경험을 했다. 엄청난 물량의 투기적 거래를 통해 재산을 늘리거나 잃어버리는 과정 속에서 사람들은 변해왔다. 국민이 겪어낸 압축적인 근대화의 과정 속에서 도시와 농촌이 어떻게 변화해 왔고 삶의 풍경 또한 어떻게 바뀌어왔는지 들여다 보는 작업은 정치경제학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다. 급속도로 진행되어온 산업화와 레저 산업은 산을 터널로 뚦어버리고 강은 둑으로 막아 바닥을 드러내게 했다. 곡식과 채소를 키우던 푸른 밭과 들에는 철근과 콘크리트와 유리로 세운 높은 빌딩들이 들어섰고, 전통가옥과 재래시장은 대규모의 아파트 단지와 쇼핑몰로 바뀌었다. 종교와 상품의 대량 소비를 가능하게 하는 복합 주차건물과 대형빌딩, 그리고 이를 그물망처럼 잇는 지하절과 고속도로의 환경속에서 대중의 사회적 삶의 방식도 재조직외어 왔다. 더 높은 이익을 내려는 개발전략때문에 동네 하나가 순식간에 흔적도 없이 사라지기도 하고 다른 곳으로 변해버리기도 하는 일들이 매일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And just for kicks, an earlier version of the translation. It’s a little more awkward because it’s more faithful to the English text, but I prefer certain parts of this version.

속담에 십 년이면 강산이 변한다고 했다.  엄청난 투기적 거래로 재산이 생기거나 잃기도 하면서 수없이 많은 사람들의 삶과 풍경이 수 십 년간의 빠른 산업화와 경제발전 때문에 변화된 것을 말할 때 한국만한 사회는 없을 것이다. 현 남한 인구의 대다수가 직접 경험한 압축적 현대화의 과정에서 도시와 농촌이 변모하고 사는 풍경이 실질적으로 바뀐 것은 진보의 정치경제학을 이야기할 때 중요한 부분이다. 산업화의 편의와 오락산업발전을 위하여 산에는 터널이 생겼고, 강에는 댐이 세워지고 바닥 표면을 훓기고 했다.   쌀, 보리 경작지나 목초지는 철과 콘크리트 유리로 만든 탑으로 대체되었다. 전통적인 단독주택과 재래시장은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 쇼핑몰로 바뀌었고, 사회생활은 점점 더 지하철과 고가도로와 고층 주차장, 대량소비와 종교를 제공하는 대형구조물 중심으로 조직되고 있다. 이익창출에만 몰두하는 개발전략에 의해 온 마을과 이웃들이 사라지기도 완전히 변형되기도 하고 새 빌딩들은 그 자리에 잡초처럼 끈질기게 계속 자란다.